이름 : Virtuoso Open-Source Edition

URL : https://virtuoso.openlinksw.com/

URL : http://vos.openlinksw.com/owiki/wiki/VOS/ 




바로 : 오픈소스로 온라인상에 LOD 구현이 가능한 툴. DBpedia도 이를 기반으로 LOD 서비스 중.





이름 : 웹 기반 코퍼스 분석 도구(CAT-T21)

URL : http://corpus.korea.ac.kr/



바로 : 고려대학교의 온라인 코퍼스 분석 및 시각화 도구이다. Trends21 코퍼스(물결21 코퍼스, 200년부터 2013년까지의 동아, 조선, 중앙, 한겨레 신문 기사)를 기반으로 하였고, 일반 키워드 빈도 뿐만이 아니라, 공기어 분석도 지원하고 있다. 






이름 : Poem Viewer

URL : http://ovii.oerc.ox.ac.uk/PoemVis/



바로 : 음성학적 시 분석 시각화 툴






이름 : Protégé

URL : https://protege.stanford.edu/

소개 : https://en.wikipedia.org/wiki/Prot%C3%A9g%C3%A9_(software)




바로 : 오픈소스 온톨로지 설계 툴







이름 : Voyant Tools

URL : https://voyant-tools.org/

소개 : https://en.wikipedia.org/wiki/Voyant_Tools




바로 : 영어에 대한 기본적인 언어분석을 웹상에서 구현해준다. 




이름 : NodeXL 

URL : http://nodexl.codeplex.com/

소개 : https://en.wikipedia.org/wiki/NodeXL


바로 : 엑셀 기반의 오픈소스 네트워크 분석 및 시각화 툴이라는데...사실 본인도 아직 안 써봤다. -0-;;  구동 예시를 보니 학생들의 네트워크 분석 입문 용으로 괜찮을듯 한데...시간 될 때 테스트 해봐야할듯...    



이름 : Gephi (게파이 혹은 게피)

URL : https://gephi.org/

WIKI : https://en.wikipedia.org/wiki/Gephi




바로 : 오픈소스이며 기본기가 나쁘지 않은 툴이다. 무엇보다 오픈소스 네트워크 분석 툴 중에서는 UI나 시각화에 많은 신경을 썼기에 수업용으로 사용하기에 딱 좋다.



이름 : 꼬꼬마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Kind Korean Morpheme Analyzer, KKMA)

URL : http://kkma.snu.ac.kr/documents/

URL : http://kkma.snu.ac.kr/

소개 : 서울대학교 IDS(Intelligent Data Systems) 연구실에서 개발한 JAVA 기반의 형태소 분석기



바로 : 언어분석에 대한 도입용으로 사용하기에 딱 좋은 툴이다. 





대학인문역량강화(CORE)사업단에서는 사업 1주년 기념으로 HUFS 인문학 콘서트”를 개최합니다.

글로벌디지털시대 인문학의 지평’ 이라는 제목으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기간(2017. 11. 20 ~ 2017. 11. 24)중에는 인문학의 명사들을 초빙하는 명사강연교내학과 또는 연구소들이 개최하는 학술대회그리고 학생들의 축하공연 및 연극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문학 학부 전공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내 구성원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깊어가는 가을에 지성의 향연HUFS 인문학 콘서트”가 여러분의 발걸음을 기다립니다.

행사 참여자들에게 기념품도 드립니다.^^(HUFS CORE 로고 파우치)

자세한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 래-

 

 : 2017 11 20() ~11 24()

 서울캠퍼스글로벌캠퍼스

행사제목글로벌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지평 

 한국외대 코어사업단

 

 

*관련문의: 02-2173-2949, 3289 

국문명 :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을 다시 생각한다 - 인문콘텐츠에서 지식콘텐츠까지

영문명 : Revisiting the Humanities in the Digital Age : From Humanities Contents to Knowledge Contents

저자 : 김민형, 임영상


학술지 정보 : <인문콘텐츠> 제41호, 2016, 인문콘텐츠학회, pp.9-29


논문 다운로드 : http://www.riss.kr/link?id=A101983478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716957



국문초록 : 

본 논문은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의 의미를 제고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서, 디지털 전회(轉回)와 디지털 인문학의 부흥이라는 전 지구적 맥락과 한류 문화의 번성 및 한국 인문학의 변모라는 지역적 맥락을 명료하게 파악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이 두 가지 맥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한국 인문학에 미친 가장 압도적인 결과 중의 하나인 ‘콘텐츠(contents)’ 개념의 등장과 발전을 살펴보고, 학문적 개념으로 타당한지의 여부를 용어의 적시성, 전형성, 근접성의 차원에서 논증한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콘텐츠학(Contents Studies)’을 포괄적 용어로 설정하고 그 성립과 분화를 논한다. 특히 본 논문은 콘텐츠학의 세부 영역으로서 지난 15여 년 간 한국 학계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한 인문콘텐츠와 문화콘텐츠를 살펴보고, 최근 등장한 지식콘텐츠의 대상과 과제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지식의 본질을 재고찰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궁극적으로 지식의 혁신 및 사회적 혁신을 추구하는 지식콘텐츠의 연구 사례로서 서울 서남권 중국동포타운 지식맵 구축을 소개한다.





영문초록 : 

In order to revisit the significance of the humanities in the digital age, this study first aims to examine both its global and local context, which includes not only the impact of Digital Turn and the prosperity of Digital Humanities but also the success of Korean Wave and recent transformations of the Korean humanistic academia. Then this study explore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contents,’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remarkable results from various interaction between those two different contexts, so that we demonstrate the conceptual validity of contents in terms of three aspects including its timeliness, exemplarity, and proxim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the ‘Contents Studies’ as an umbrella term, and then discusses its main domains, such as Humanities Contents and Culture Contents, both of which have achieved an outstanding growth for the last decade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This study also aims to comprehend the subject and vision of Knowledge Contents,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new domain of Contents Studies, and ultimately pursues not only a knowledge innovation but also a social innov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knowledge. This study lastly introduces one case study of knowledge contents, which is a research project to construct a knowledge map of the Korean-Chinese ethnic town located in the southwest side of the city of Seoul.




바로 : 지금까지 한국 학계의 "콘텐츠"에 대한 정의의 변천을 다루고, 미래의 콘텐츠의 확장 영역으로 "지식 콘텐츠"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실제적인 결과물로 중국동포타운 지식맵을 소개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지금까지 한국 학계에 다루어온 "콘텐츠"에 대한 큰 맥락을 잘 짚었기에 한국 콘텐츠 관련 연구사를 살펴보고 싶을 때 살펴보면 좋다고 생각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