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바로(한국학중앙연구원)
360도 영상은 아직은 실험단계에 있다. 데이터를 만들 수 있는 촬영장비는 동영상의 경우, 1000만원정도의 고가이고, 파노라마의 경우, 아직은 100만원 수준이다. 출력장비에서도 제대로 된 360도 동영상/파노라마를 즐기기 위해서는 VR장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은 대부분의 VR장비가 저가형도 10만원정도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60도 동영상/파노라마는 5년내로 지금의 디카처럼 기본적인 촬영장비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인문학적인 응용은 무엇이 있을까? 최초의 실험모델은 문화유산이 적합할 것이다. 지금까지 단방향으로 문화유산을 촬영하여 현장감과 종합적인 양태를 보기 힘들었던 문화유산 데이터를 풍부하게 할 것이다. 특히 한번 전시가 되고, 도록의 형태로만 남는 박물관 전시회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럼 최초의 상업적 모델은 무엇일까? 아마 런닝머신과의 결합일 것이다. 전국의 신라유적 탐방은 물리적인 이동시간으로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런닝머신과 파노라마를 결합하여, 물리적인 제약을 탈피하여 전국 신라유적을 탐방할 수 있다. 전국사찰탐방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접근하기 힘든 경주 남산 탐방도 가능할 것이다. 런닝머신의 속도에 따라서 이동 속도가 변경되고, 만약 급한 일이 발생하면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탐방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한 문화유산에서 다른 문화유산으로 물리적인 제약을 벗어나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문화유산 이외에도, 백두대간 횡단, 제주올레길 등 다양한 서비스를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결국 모든 문화유산에 대한 3D 스캔을 통한 완전한 가상화 이후에는 점차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것은 10년 뒤에나 상업화가 가능할 정도의 서비스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설령 완전한 가상화가 된다고 하더라도, 20년 이내로는 실제적인 현장감에서 360도 동영상/파노라마가 더 강력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인문학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0) | 2015.02.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