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동영상은 2018년 충남대학교 "콘텐츠 분야 실무역량강화 특강"의 결과물이다.


촬영일 : 2018년 07월 25일

편집자 : 김바로


지도교수 : 김바로

발표자 : 김가연




방탄소년단 앨범별 언어분석_김가연.pdf




본 동영상은 2018년 충남대학교 "콘텐츠 분야 실무역량강화 특강"의 결과물이다.


촬영일 : 2018년 07월 25일

편집자 : 김바로


지도교수 : 김바로

발표자 : 황경민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인기글 비교_황경민.pdf





본 동영상은 2018년 충남대학교 "콘텐츠 분야 실무역량강화 특강"의 결과물이다.


촬영일 : 2018년 07월 25일

편집자 : 김바로


지도교수 : 김바로

발표자 : 박해인




EPIK HIGH 앨범 별 가사 변화로 본 표현 경향 분석_박해인.pdf






본 동영상은 2018년 충남대학교 "콘텐츠 분야 실무역량강화 특강"의 결과물이다.


촬영일 : 2018년 07월 25일

편집자 : 김바로


지도교수 : 김바로

발표자 : 전현식





희곡 벽과창 언어분석_전현식.pdf





Digital_Silk_Road_International Confencence_Program.pdf


Final Silk Roads Again Poster (2).pdf



CBDB API



https://projects.iq.harvard.edu/cbdb/cbdb-api




Example: creating an API call to CBDB for 王安石 (Wang Anshi)


Send out http request using the following link:

1. Query by person ID:

http://cbdb.fas.harvard.edu/cbdbapi/person.php? id=1762 (Wang Anshi's CBDB ID)

2. Query by name:

http://cbdb.fas.harvard.edu/cbdbapi/person.php? name=王安石

http://cbdb.fas.harvard.edu/cbdbapi/person.php? name=Wang Anshi


3. Output to XML:

http://cbdb.fas.harvard.edu/cbdbapi/person.php?id=1762&o=xml

4. Output to json:http://cbdb.fas.harvard.edu/cbdbapi/person.php?name=王安石&o=json




바로 : 한국인물을 중심으로한 KBDB가 나올 날을 소망하며...







URL : https://www.data.go.kr/dataset/3071310/fileData.do

데이터 형식 : XML(조선왕조실록 원문/국역), CSV(인물정보)


소개 : 국사편찬위원회의 "조선왕조실록 서비스(http://sillok.history.go.kr)"의 데이터. 원문과 국역 뿐만이 아니라, 부가 서비스 중 인물 정보도 포함.


참고 : 해당 서비스 중에서 원문 이미지의 경우는 저작권이 국사편찬위원회가 아닌 국가기록원에 있음. 만약 조선왕조실록의 원문 이미지가 필요하다면 국가기록원으로 신청해야 함. 다만 원문 이미지와 원문 텍스트의 연계 정보는 국사편찬위원회에 있음. 




URL : http://www.isni.org/

소개 :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_Standard_Name_Identifier

국제 표준 명칭 식별자로 현대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중심. 한국 대표 기관은 국립중앙도서관.







URL : http://www.tei-c.org/


소개 : https://en.wikipedia.org/wiki/Text_Encoding_Initiative

SGML을 기반으로 한 언어학의 기본데이터 스키마


국문명 : 고구려, 백제, 신라 왕조실록 인명 네트워크 분석

영문명 : Analysis of People Networks in Goguryeo, Baekje, and Silla Dynasty Silloks

저자 : 정진수, 김학용


학술지 정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2011, 한국콘텐츠학회, pp.474-480



논문 다운로드 : http://www.riss.kr/link?id=A82599622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1642623




국문초록 : 


고구려, 백제, 신라 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인물 네트워크는 다른 사회 네트워크와는 달리 척도 없는 네트워크 (scale-free network)의 특성이 아닌 정보의 보급, 인터넷 연쇄 편지, 청원 편지 등에서 보여주는 유포 네트워크 (dissemination network)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세 왕조를 통합한 삼국왕조 실록은 사회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생명체 네트워크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와 계층적 네트워크 (hierarchical network)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데, 삼국왕조실록도 척도 없는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계층적 네트워크의 특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었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각 국가의 영토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는데, 고구려나 백재와는 달리 신라만의 독특한 양상을 가지는데, 이 양상이 삼국 통일을 이루는 근간을 만든 것으로 분석하였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전반적인 나라 경영, 발전 양상 및 이들 나라의 중심이 되는 왕의 인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통치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삼국 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인물을 역사학적 관점이 아닌 실록에 등장하는 인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분석함으로서 새로운 각도에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초록 : 


Most social networks have power-law distribution that is one of distinct properties in scale-free network. In contrast to social network character, people networks of the Goguryeo, Baekje, and Silla show dissemination network that is a narrow and deep-reaching styl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However, people network of three kingdoms that is integrated each national people reveals scale-free and hierarchical properties. Pattern of territory expansion and abridgment in Silla is distinct from those in Goguryeo and Baekje, indicating that the distinct pattern reflects a power for unification. Several patterns in national management and national development of the three kingdoms are also analyzed based on network. Our results provide new insight that is analyzed by network-based approaches but is not analyzed by historial approaches in history of three kingdoms.





바로 : 이공계만으로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인문학에 접근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공계에서는 특정 정보기술을 다룰 때, 흔히 해당 정보 기술의 효율에 대한 부분에 집중한다. 정작 해당 정보 기술의 분석 대상에 대한 이해나 분석 되어 나온 결과에 대한 해석이 현저히 부족한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본 논문은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역사 시대를 규명하고자 하는 좋은 의도에도 불구하고 인문학자라면 참고 문헌을 보는 순간......아니 제목을 보는 순간에 웃고 마는 논문이 되어 버렸다. 인문학자....아니 인문학도 한 명이라도 옆에 있었다면 좀 더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구체적으로 문제점을 지적하면, 일단 고구려 왕조 실록이라는 것은 없다. 백제나 신라 왕조 실록도 없다. 기본적으로 존재 자체를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왕조 실록"이라는 것은 어디에서 왔을까? 참고문헌을 보면 박영규가 지은 "한권으로 읽는 고구려왕조실록"이 출현하고 있다. 인문학자 혹은 인문학도라면 이를 발견한 순간 멍해질 수 밖에 없다. 현대에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만든 책을 기반으로 고대의 인물 네트워크를 분석한다고? 1차 사료 조차 완전한 1차 사료가 될 수 없기에 신중하게 접근하도록 대학교 시절부터 기본적으로 받는 훈련이 사료 검토 및 비판이다. 역사학의 기본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이 분석한 것은 고대의 인물 네트워크가 아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박영규에 의해서 쓰여진 "한권으로 읽는 왕조실록" 시리즈의 인물 네트워크를 분석한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김구"를 분석한다고 하면, 김구의 자서전을 토대로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관련 사료를 모두 포함하여 김구를 살펴봐야되는데, "어린이를 위한 김구 동화"를 토대로 "김구"를 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김학용 교수의 노력이 너무 비하되어서는 안될 것으로 보인다. 인문학과 네트워크 분석의 융합 시도는 그 시도 자체만으로도 박수를 받아야 될 부분이다. 최소한 다른 논문인 "대하소설 토지"나 "소설 삼국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은 대상 텍스트 자체가 인문학적인 분석 대상으로서의 가치와 의미가 있기에 상당히 유의미한 결과로도 볼 수 있다. 다만 다시 말하지만...김학용 교수님 주변에 조언을 해줄 인문학자가 너무 없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이름 : Virtuoso Open-Source Edition

URL : https://virtuoso.openlinksw.com/

URL : http://vos.openlinksw.com/owiki/wiki/VOS/ 




바로 : 오픈소스로 온라인상에 LOD 구현이 가능한 툴. DBpedia도 이를 기반으로 LOD 서비스 중.





이름 : 웹 기반 코퍼스 분석 도구(CAT-T21)

URL : http://corpus.korea.ac.kr/



바로 : 고려대학교의 온라인 코퍼스 분석 및 시각화 도구이다. Trends21 코퍼스(물결21 코퍼스, 200년부터 2013년까지의 동아, 조선, 중앙, 한겨레 신문 기사)를 기반으로 하였고, 일반 키워드 빈도 뿐만이 아니라, 공기어 분석도 지원하고 있다. 






이름 : Poem Viewer

URL : http://ovii.oerc.ox.ac.uk/PoemVis/



바로 : 음성학적 시 분석 시각화 툴






이름 : Protégé

URL : https://protege.stanford.edu/

소개 : https://en.wikipedia.org/wiki/Prot%C3%A9g%C3%A9_(software)




바로 : 오픈소스 온톨로지 설계 툴







이름 : Voyant Tools

URL : https://voyant-tools.org/

소개 : https://en.wikipedia.org/wiki/Voyant_Tools




바로 : 영어에 대한 기본적인 언어분석을 웹상에서 구현해준다. 




이름 : NodeXL 

URL : http://nodexl.codeplex.com/

소개 : https://en.wikipedia.org/wiki/NodeXL


바로 : 엑셀 기반의 오픈소스 네트워크 분석 및 시각화 툴이라는데...사실 본인도 아직 안 써봤다. -0-;;  구동 예시를 보니 학생들의 네트워크 분석 입문 용으로 괜찮을듯 한데...시간 될 때 테스트 해봐야할듯...    



이름 : Gephi (게파이 혹은 게피)

URL : https://gephi.org/

WIKI : https://en.wikipedia.org/wiki/Gephi




바로 : 오픈소스이며 기본기가 나쁘지 않은 툴이다. 무엇보다 오픈소스 네트워크 분석 툴 중에서는 UI나 시각화에 많은 신경을 썼기에 수업용으로 사용하기에 딱 좋다.



이름 : 꼬꼬마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Kind Korean Morpheme Analyzer, KKMA)

URL : http://kkma.snu.ac.kr/documents/

URL : http://kkma.snu.ac.kr/

소개 : 서울대학교 IDS(Intelligent Data Systems) 연구실에서 개발한 JAVA 기반의 형태소 분석기



바로 : 언어분석에 대한 도입용으로 사용하기에 딱 좋은 툴이다. 





대학인문역량강화(CORE)사업단에서는 사업 1주년 기념으로 HUFS 인문학 콘서트”를 개최합니다.

글로벌디지털시대 인문학의 지평’ 이라는 제목으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기간(2017. 11. 20 ~ 2017. 11. 24)중에는 인문학의 명사들을 초빙하는 명사강연교내학과 또는 연구소들이 개최하는 학술대회그리고 학생들의 축하공연 및 연극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문학 학부 전공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내 구성원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깊어가는 가을에 지성의 향연HUFS 인문학 콘서트”가 여러분의 발걸음을 기다립니다.

행사 참여자들에게 기념품도 드립니다.^^(HUFS CORE 로고 파우치)

자세한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 래-

 

 : 2017 11 20() ~11 24()

 서울캠퍼스글로벌캠퍼스

행사제목글로벌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지평 

 한국외대 코어사업단

 

 

*관련문의: 02-2173-2949, 3289 

국문명 :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을 다시 생각한다 - 인문콘텐츠에서 지식콘텐츠까지

영문명 : Revisiting the Humanities in the Digital Age : From Humanities Contents to Knowledge Contents

저자 : 김민형, 임영상


학술지 정보 : <인문콘텐츠> 제41호, 2016, 인문콘텐츠학회, pp.9-29


논문 다운로드 : http://www.riss.kr/link?id=A101983478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716957



국문초록 : 

본 논문은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의 의미를 제고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서, 디지털 전회(轉回)와 디지털 인문학의 부흥이라는 전 지구적 맥락과 한류 문화의 번성 및 한국 인문학의 변모라는 지역적 맥락을 명료하게 파악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이 두 가지 맥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한국 인문학에 미친 가장 압도적인 결과 중의 하나인 ‘콘텐츠(contents)’ 개념의 등장과 발전을 살펴보고, 학문적 개념으로 타당한지의 여부를 용어의 적시성, 전형성, 근접성의 차원에서 논증한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콘텐츠학(Contents Studies)’을 포괄적 용어로 설정하고 그 성립과 분화를 논한다. 특히 본 논문은 콘텐츠학의 세부 영역으로서 지난 15여 년 간 한국 학계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한 인문콘텐츠와 문화콘텐츠를 살펴보고, 최근 등장한 지식콘텐츠의 대상과 과제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지식의 본질을 재고찰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궁극적으로 지식의 혁신 및 사회적 혁신을 추구하는 지식콘텐츠의 연구 사례로서 서울 서남권 중국동포타운 지식맵 구축을 소개한다.





영문초록 : 

In order to revisit the significance of the humanities in the digital age, this study first aims to examine both its global and local context, which includes not only the impact of Digital Turn and the prosperity of Digital Humanities but also the success of Korean Wave and recent transformations of the Korean humanistic academia. Then this study explore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contents,’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remarkable results from various interaction between those two different contexts, so that we demonstrate the conceptual validity of contents in terms of three aspects including its timeliness, exemplarity, and proxim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the ‘Contents Studies’ as an umbrella term, and then discusses its main domains, such as Humanities Contents and Culture Contents, both of which have achieved an outstanding growth for the last decade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This study also aims to comprehend the subject and vision of Knowledge Contents,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new domain of Contents Studies, and ultimately pursues not only a knowledge innovation but also a social innov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knowledge. This study lastly introduces one case study of knowledge contents, which is a research project to construct a knowledge map of the Korean-Chinese ethnic town located in the southwest side of the city of Seoul.




바로 : 지금까지 한국 학계의 "콘텐츠"에 대한 정의의 변천을 다루고, 미래의 콘텐츠의 확장 영역으로 "지식 콘텐츠"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실제적인 결과물로 중국동포타운 지식맵을 소개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지금까지 한국 학계에 다루어온 "콘텐츠"에 대한 큰 맥락을 잘 짚었기에 한국 콘텐츠 관련 연구사를 살펴보고 싶을 때 살펴보면 좋다고 생각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