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명 :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매체적 특징과 웹서비스 구현

영문명 : The media features of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and Web service development

저자 : 이현주


학술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제65집, 2016, 동양고전학회, pp.333-354


논문 다운로드 : http://www.riss.kr/link?id=A102496174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90743



국문초록 : 

이 글은 조선시대 한글편지에 대한 아카이빙 형식의 웹서비스를 목적으로 구축된 “조선시대 한글편지” 웹서비스의 구축 배경 및 구축 과정을 소개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부분 낱장의 형태로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자료들을 표준화된 분류체계 및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아카이브 형식의 집적 작업이 필요하며 이 때 한글편지의 매체적 특징이 반영되어야 한다. 한글편지는 명확히 정해진 특정의 수신자를 염두에 두고 쓰여 진다. 따라서 불특정 다수가 읽을 것을 전제로 하여 쓰인 여타의 고문헌 기록들과는 구별되는 매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웹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도 한글편지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매체적 특징이 반영되어야 한다. 한글편지는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관계를 전제로 작성되는 글이기 때문에 그 관계를 고려한 격식(格式)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격식은 문자 요소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비문자 요소로 나타나기도 한다. 한글편지의 디지털화는 이러한 비문자적인 요소들까지도 디지털화 해야 한다. 대부분의 한글편지는 개인 간의 비공식적인 문서 행위이다. 특정 수신자만이 읽을 것을 전제로 작성되기 때문에 발신자와 수신자가 사전에 공유하고 있는 정보는 과감히 생략한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존재할 때는 완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정보의 불완전성은 관련 문서나 관련 사료를 연계시켜 부족한 정보를 보완해야만 이용자들에게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개별 한글편지의 정보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중 단위의 문서군 서비스와 해당 편지와 관련이 있는 자료와의 연계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영문초록 : 

This study aimed at describing the method and background of digitalizing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To build a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database, we have to accumulate it with archive format standing on the basis of standard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meta data. A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have the media features. It is an informal document which is exchanged in private. Therefore, joseon-era people wrote a letters in the precondition to that they exchange papers to each other. At this moment, they omitted the information to share with them. And, Becaus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were written in the precondition to that they exchange them to each other, they stick to formality. The formality appears in the verbal form or the nonverbal form. To establish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web service, we considered the media features of them. And then, we inputted effective meta data of every letters. Especially, to establish web service we need to supplement the imperfection of information that a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have. Therefore each letter web service is linked to related data.


바로 : 조선시대 한글 편지의 자료적 특징을 반영하여 구축한 웹서비스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단순히 디지털화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한글 편지의 비문자적 특질을 반영하고, 편지 자료의 맥락 정보를 확보를 위한 타 서비스 데이터와의 연계를 고려한 점은 높이 살만 하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비문자적 특질에서......예를 들어서 재점과 같은 것 디지털의 특징을 살려서 "원문"과 "보완"의 두가지를 모두 제공하는 것은 어떨까 싶다. 아날로그에서야 하나의 "정본"만이 가능하지만, 디지털에서는 여러개의 "정본"도 가능하니까 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