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GIS 기초 개념 및 실습


대상 :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


강의내용 : 

- GIS란?

- ESRI ArcGIS 설치 및 구동

- ArcMAP을 이용한 지도 제작

- 구글어스 + ArcGIS


강사 : 김현종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시: 8월 12일, 13일(수, 목)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장소: 대학원 103호 강의실 


관련문의 : 강혜원 (한국학중앙연구원)  hyekangs@naver.com


바로 : 참가비용 없습니다. ^^





학년

과정

1학기

2학기

과목수

1학년

인문학 기초

클라시쿠스 (3학기)

 

2학년

디지털기초

디지털 휴머니티의 이해

디지털 시대의 언어

디지털 방법론

신화와 디지털콘텐츠

디지털 심리학

5

3학년

전공

심화

+

실용

융합

디지털미디어 번역

문학텍스트 마이닝분석

국어학 데이터의 이해

디지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콘텐츠 마이닝분석

인문학텍스트 마이닝분석

디지털시대의 문화비평

한국문학과 문화콘텐츠

디지털 아트와 미학

트랜스미디어의 기획

글로벌 문화코드

10

4학년

실용

융합

공간 스토리텔링

뉴미디어 캐릭터론

콘텐츠 경험디자인 기획

뉴미디어시대의 방송콘텐츠 기획

디지털 휴머니티 창작 워크샵

디지털 휴머니티 UR

창업 연습

6




아주대_디지털휴머니티트랙 교육과정.pdf




참고자료 :

아주대학교

http://www.ajou.ac.kr/


2015년 1학기 아주대학교 디지털인문학 트랙 디지털인문학개론 수업의 결과물

https://www.youtube.com/watch?v=WACIUOkVf6Y&list=PLGbGeqRyCIocsoDkX2-cXiQnBqEosROoq








출처 : http://ace.ajou.ac.kr/ace/special/special01.jsp




바로 : 아주대학교 디지털 휴머니티 트랙(DH트랙)은 아시아에서 최초로 개설된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학부 교육 프로그램이다. 



* 개별 교과목 분석 추가 요망

* 관련 내용 세부 분석 요망






연도 이름 실행기관 지원금 기간 내용 홈페이지
2015~2017 Doing Digital History 2016: An Institute for Mid-Career American Historians  George Mason University $219,301 28개월? 중견 역사학자를 위한 디지털 역사학, 2주 코스, 25명  
2015~2017 The Digital Native American and Indigenous Studies Project Indiana/Purdue University, Indianapolis $249,817 28개월? 새로운 디지털방법론을 통한 미국원주민 연구, 3일 코스, 35명  
2015~2017 Space and Place in Africana/Black Studies: An Institute on Spatial Humanities, Theories, Methods and Practice Purdue University  $245,299 28개월? 공간정보를 통한 아프리카계 흑인연구, 3주 코스, 20명  
2014~2016 Advanced Challenges in Theory and Practice in 3D Modeling of Cultural Heritage Sites Arkansas State University $218,139 28개월 문화유산의 3D 시각화의 이론과 실습, 1주 코스 http://neh.cdi.astate.edu/
2014~2016 Folger Shakespeare Library's "Early Modern Digital Agendas: Advanced Topics" Institute Folger Shakespeare Library $175,649 25개월 초기 근대 시대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문학 이론 및 실습, 13일 코스  http://www.folger.edu/
2014~2015 An Institute for Community College Digital Humanists: Beyond Pockets of Innovation, Toward a Community of Practice Lane Community College $88,778 13개월 지역 전문대학을 위한 디지털인문학 교육 및 연구, 5일 코스 https://blogs.lanecc.edu/dhatthecc/
2014~2016 Institute on Digital Archaeology Method & Practice Michigan State University $249,708 25개월 디지털 고고학의 방법론과 실무, 12일 코스, 20명 http://digitalarchaeology.msu.edu/
2014~2015 Scholarship in Sound and Image: Producing Videographic Criticism in the Digital Age Middlebury College $95,152 13개월 멀티미디어 기반의 디지털인문학, 2주 코스, 12명 http://sites.middlebury.edu/videoworkshop/
2013~2015 Doing Digital History: An Institute for Mid-Career American Historians George Mason University $215,718 20개월 중견 역사학자를 위한 디지털 역사학, 2주 코스, 25명 http://history2014.doingdh.org/
2013~2016 Building an Accessible Future for the Humanities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49,302 36개월 시각 및 청각장애인이 접근 가능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2일 코스, 4회4개 대학, 20명  http://www.accessiblefuture.org/
2013~2014 XQuery Summer Institute: Advancing XML-Based Scholarship from Representation to Discovery Vanderbilt University $72,760 15개월 XML Data 검색을 위한 Xquery 강의, 2주 코스, 12명 http://xqueryinstitute.org/
2012~2013 Humanities Heritage 3D Visualization: Theory and Practice Arkansas State University, Main Campus $198,503 18개월 문화유산의 3D 시각화의 이론과 실습 , 3주 코스, 20명 http://cdi.astateweb.org/neh/
2012~2014 Folger Shakespeare Library Summer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Early Modern Digital Agendas" Folger Shakespeare Library $159,056 27개월 디지털 방법론을 통한 근세 영문학 강의, 3주 코스, 20명 http://emdigitalagendas.folger.edu/
2012~2015 Another Week | Another Tool - A Digital Humanities Barnraising George Mason University $230,000 37개월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교육, 1주 코스+1년간 지원, 12명 http://oneweekonetool.org/
2012~2015 Digital Humanities Data Cur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48,721 36개월 인문학자를 위한 디지털인문학에서의 데이터 큐레이션, 3일 코스, 4회4개 대학, 총 51명 http://www.dhcuration.org/
2012~2014 Institute for High Performance Sound Technologies for Access and Scholarship HiPSTAS University of Texas, Austin $235,000 25개월 구비문학, 구어 녹취 등 음성 데이터 수집 분석 연구를 위한 교육, 4일 코스 http://blogs.ischool.utexas.edu/hipstas/
2012~2016 Taking TEI Further: Teaching and Publication Brown University, Northeastern University  $249,974 48개월 TEI 데이터 구축, 교육, 공유 주제별 2일, 총 6일 코스 http://www.wwp.northeastern.edu/



출처 : 미국인문학재단(NEH), http://www.neh.gov/


Institutes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목록 검색

https://securegrants.neh.gov/PublicQuery/main.aspx?q=1&a=0&n=0&o=0&k=0&f=0&s=0&cd=0&p=1&pv=260&d=0&y=0&prd=0&cov=0&prz=0&wp=0&pg=0&ob=year&or=DESC


Institutes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 http://www.neh.gov/grants/odh/institutes-advanced-topics-in-the-digital-humanities


Institutes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Guidelines, http://www.neh.gov/files/grants/advanced-topics-digital-humanities-march-11-2014.pdf


김현, 김바로, 「미국 인문학재단(NEH)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사업」, 『인문콘텐츠』 제34호, 2014년



바로 :

미국 인문학재단(NEH)의 디지털인문학단(ODH, Office of Digital Humanities)에서 지원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의 유형은 5가지이다. 그 첫 번째인 ‘디지털인문학 초기 조성 지원금’(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은 디지털인문학의 경험이 없는 순수 인문학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연구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금이다. 본격적으로 디지털인문학 연구의 수행이 가능해지면, ‘디지털인문학 실행 지원금’(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을 통해서 실제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인문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지원금’(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을 통해서 전통 인문학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교육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인문학 빅데이터 분석 과제’(Digging Into Data Challenge)는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를 인문학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 하고 있으며, 독일의 연구진흥협회(DFG)와 공동으로 미·독 양국의 협력 연구팀을 선발·지원하는 ‘NEH/DFG 디지털인문학 협력 프로그램’(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은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 디지털인문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디지털인문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은 인문학 연구자들에게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집중 훈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지원하여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인문학자들을 증가시키고 인문학 관련 디지털 기술 도구와 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널리 보급하고자 설계되었다. 그렇기에 교육 주제를 디지털인문학으로 인정되는 범위로 한정시키는 것 이외의 교육 대상과 장소 및 방법론에 특별한 제약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디지털인문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은 1년에서 3년 사이의 기간 동안 $50,000에서 $250,000 사이의 지원금이 지급되고 있다. 



* 2012년 이전의 디지털인문학 교육 프로젝트 추가 필요.

* 각 교육 프로젝트에 대한 개별적인 내용 추가 필요.





출처 : 祝平次的教學網站 - 數位工具與文史研究

https://sites.google.com/a/ptc.cl.nthu.edu.tw/courses/ke-cheng-zong-biao/dhtools


Youtube - 科技部數位人文籌畫小組

https://www.youtube.com/channel/UChyyjTUusnyryNDVUuOB6zQ



바로 : 타이완의 과학기술부의 「數位人文」推動計畫 (2014-2016) 중 數位人文研究人才培育計畫의 계획으로 실행 중인 프로젝트이다. 타이완의 국가단위 디지털아카이브 프로젝트 수행의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된 후속인재 양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적인 계획이다. 현재 타이완 新竹清華大學 中文系의 祝平次가 중국문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학기 분량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기본적인 디지털인문학과 디지털에 대한 개념을 전달하고, 실제 존재하는 관련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을 통한 중문학적 분석을 진행하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다. 1학기 분량에서 디지털인문학을 통한 중문학 연구에 대한 모든 내용을 전달하려고 하다보니 기본적인 내용만을 전달하고, 심도 깊은 강의를 할 여유가 없는 한계가 있다.









전공소개

정보화의 거센 변화는 우리의 행동그리고 사회조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개별학문인 컴퓨터 공학커뮤니케이션학경영학정보학을아우르는 ‘정보융합’적 접근이 요청됩니다
이러한 통합적 접근은 인간의 사회와 문화를 고도로 이해하고 정보기술 친화력을 가진 분석가기획자설계자경영자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 연구기관을 필요로 합니다.

해외에서는 이미 ‘정보융합’ 과정으로 
iSchool(Information School)이 확산되고 있습니다문헌정보학과 컴퓨터공학에서 파생된 이 학과들은 공학과 인문학의 장점을 취하며 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 중입니다
하지만 외국의 기관들은 그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현실과 잘 맞물리지 않는 요소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IT 환경에 맞는 정보 융합 과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정보기술과 관련된 교육과 연구로 국내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며새로운 패러다임의 웹서비스를설계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하고 있는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와 2002년부터 정보기술을 이해하는 문화콘텐츠산업의 기획분석 인력 양성을 성공리에 진행 중인 '서울대 연합전공 정보문화학이 연합하여 새로운 시너지 창출이 기대되는 ‘디지털정보융합’ 전공을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교육목표

디지털정보융합전공(iSchool)은 정보-기술-인간을 이해하는 ‘정보융합’적 관점에서 출발합니다인간의 정보요구와 정보활용을 이해하고우리 사회에서의 정보의 역할을 파악하며문화를 이해하는 정보 인프라 설계를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인류가 보다 효율적으로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학교와 산업이 연결되어 연구자의 잠재성과 실험정신을 극대화화는현실기반의 연구 접근을 실현하여 정보산업지식산업 및 문화콘텐츠산업에서 현장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합니다.
 
디지털기술은 모든 학제간 융합연구와 산학연 융합연구의 중심에 놓여있고정보는 21세기 세계관과 인간관을 구성하는 데 있어 핵심개념입니다융합정보학은정보추구 행동론을바탕으로 인간의 정보 필요 요구 및 정보 추구 행동 및 이에 대한 사회적 맥락과 시스템의 응용에 대한 넓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정보기술과 문화기술 등의 관련 분야들이 융합된 연구 분야가 향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실제로도 산업체에 응용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미래가 유망한 분야라 할 수 있습니다.


교과과정표
번호과목번호과목명
교과과정표
1492.501A현대정보검색 개론 (Introduction to Modern Information Retrieval)
교과과정표
2492.502A정보추구행동론 (Human Information Behavior)
교과과정표
3492.601컴퓨터프로그래밍 개론 (Introduction to Computer Programming)
교과과정표
4492.606웹 응용 시스템 (Web Application System)
교과과정표
5492.607온톨로지기술 입문 (Introduction to Ontology Technology)
교과과정표
6492.608지식정보처리론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교과과정표
7492.610복잡계 이론 및 디지털 정보 분석 (Digital data analysis in complex systems)
교과과정표
8492.611A정보행동 연구조사 방법론 (Research method in information user analysis)
교과과정표
9492.612비주얼라이제이션 (Visualization)
교과과정표
10492.613프로젝트 기획과 실제 (Project Management)
교과과정표
11492.614게임의 이해 (Understanding Games)
교과과정표
12492.617디지털스토리텔링 (Digital Storytelling)
교과과정표
13492.618정보정책 (Information Policy)
교과과정표
14492.619산학연구 프로젝트 (Field Project)
교과과정표
15492.620음악정보검색 입문 (Introduction to Music Information Retrieval)
교과과정표
16492.621모바일 응용 프로그래밍 (Mobile Application Programming)
교과과정표
17492.622A과학기술사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교과과정표
18492.623인터랙티브 사운드 디자인 (Interactive Sound Design)
교과과정표
19492.624음악정보검색 시스템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교과과정표
20492.625기업가적 사고방식 (Entrepreneurial Mindset)
교과과정표
21492.803대학원논문연구 (Dissertation Research)
교과과정표
22M2680.001200데이터 분석 개론 (Introduction to Data Analysis)
교과과정표
23M2680.001300정보융합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for Information Studies)
교과과정표
24M2680.001400소셜컴퓨팅 (Social Computing)
교과과정표
25M2680.001500정보융합 세미나 (Seminar in Information Studies)
교과과정표
26M2680.001600인간컴퓨터상호작용 연구특강 (Research Topics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교과과정표
27M2680.001700정보융합 통계분석 (Statistical Analysis for Information Studies)
교과과정표
28M2680.001800인간컴퓨터상호작용연구 (Human Computer Interaction Research)
교과과정표
29M2680.001900게임과 콘텐츠 특강 (Topics in Game and Contents )
교과과정표
30M2680.002000정보융합 특강 (Topics in Information Studies)
교과과정표
31490.501융합과학기술개론 (Introduction to Convergence Science and Technology)
교과과정표
32490.502A융합 지식의 실무 응용 1 (Field Applications of Convergence Knowledge 1)
교과과정표
33495.601융합 지식의 실무 응용 2 (Field Applications of Convergence Knowledge 2)
교과과정표
34495.701

융합 프로젝트 설계 (Interdisciplinary Project Design)



출처 :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http://gscst.snu.ac.kr/


바로 : 2009년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는 연합전공 정보문화학과 연합하여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정보융합 전공을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 설립하였다. 디지털정보융합학과는 전공필수 과목으로 정보추구행동론과 컴퓨터프로그래밍개론(JAVA)을 이수하여야 하며, HCI와 디지털음악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http://gscst.snu.ac.kr/, 2015년 07월 17일 확인

디지털정보융합학과는 컴퓨터공학을 중심으로 인문학을 도입하여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공학에 치중된 교과과정으로 인하여 전통 인문학 방법론과 내용에 대한 교육 부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출처 : 東京大学大学院横断型教育プログラム デジタル・ヒューマニティーズ, http://dh.iii.u-tokyo.ac.jp/



바로 : 도쿄대학교는 “디지털인문학-대학원 횡단형 교육프로그램(デジタル・ヒューマニティーズ 東京大学大学院横断型教育プログラム)”을 통하여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디지털인문학을 교육하고 있다. 도쿄대학교는 “인문정보학 개론”과 “디지털인문학 입문”을 이수하여야 하며, “인문정보학의 제반양상”을 통하여 디지털인문학의 실제 프로젝트를 리뷰하고, 데이터 구축을 위한 XML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도쿄대학교는 디지털인문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현황을 소개하고, 기본적인 데이터 구축을 위한 XML을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분석과 시각화에 대한 내용을 배제되어 있다. 






학과 소개

인문학적 소양을 토대로 글로벌 문화자원을 기획 및 개발하는 창의적 실무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는 융합 인문학부를 지향함.

- 폭넓은 인문학 교육: 철학, 역사학, 언어정보학 중심의 인문 지식의 축적

- 문화자원: 게임, 영화, 전자책, 웹툰 등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자원으로 변환

- 실무적인 역량: 글로벌 문화자원의 기획/발굴과 문화지도 및 아카이브의 구축을 통해 대중적인 문화콘텐츠를 서비스 하는 역량을 증대


주요 커리큘럼

- 인문학 기초 및 공통 과목: 논리학, 인문학적 사유와 철학, 콘텐츠 원형의 이해, 서사의 이해, 상호문화의 이해, 현대 문화와 철학 등 

- 문화지도 관련 과목: 인문정보학 개론, 지역문화 조사방법론, 지역문화 콘텐츠 연구, 인문정보 데이터베이스 1/2, 디지털 문화지도 1/2,

   문화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방법론, 멀티미디어 콘텐츠, 한국문화와 문화콘텐츠 등

- 아카이브 관련 과목: 기록문화유산 관리학 입문, 문화유산의 의미와 탐구, 박물관 전시 실무, 기록문화유산 관리와 문화산업, 기록의 활용

   과 가상현실 스튜디오, 기록 및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등

- 언어정보 과목: 컴퓨터언어학 입문, 언어콘텐츠, 멀티미디어 개론, 사전과 온톨로지, 데이터마이닝과 정보검색, 음성 인식과 합성, 인공

   지능,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등 


졸업 후 진로

- 학계: 문화콘텐츠학 교수 및 연구원

- 공공기관: 문화정책 기관 연구원

- 기획 분야: 게임, 영화, 출판, 방송, 광고 기획자 및 마케터 

- 언론 분야: 신문 기자, 방송 기자, 아나운서, 방송 PD 

- 인터넷 포털 분야: 콘텐츠 기획자 및 관리자

- 통신 분야: 모바일 콘텐츠 기획자 및 관리자


취득가능한 자격증

디지털 영상편집 자격증, SPSS (표준통계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자격증, 무대예술자격증 (조명, 음향기기), GTQ (국가공인 그래픽기술자격증), 박물관∙미술관∙학예사, 문화유산 해설사, 이벤트 플래너 자격증, 이벤트 디렉터 자격증, 에디터 디렉터 자격증, 컨벤션 기획사 자격증, 멀티미디어콘텐츠 제작전문가



한국외대_지식콘텐츠학부.pdf








교육목표

인문정보학이란 문화와 기술을 아우르는 현대 사회의 복합적 지식 수요에 부응하는 지식 정보의 계발을 목적으로 전통적인 인문과학 분야의 지식과 정보과학 기술 사이의 학제적 소통 및 응용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문정보학 교육의 목표는 정보기술을 매개로 전통적인 학술·문화 자원을 현대적인 지식 정보 콘텐츠로 편찬·가공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전통 문화의 현대화, 국제화에 기여할 지식 정보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한국학대학원의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에서는 한국의 역사, 지리, 사상, 언어, 문학 등 인문 분야 정보 자원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과 아울러 이를 정보화 하는 데 필요한 제반 기술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지식 정보의 콘텐츠와 테크놀로지를 종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교육중점
  • 역사, 지리, 사상, 언어, 문학 등 전통적인 한국학 분야 지식 자원의 성격과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응용 가치를 탐구한다.
  • 고도서, 고문서, 고지도 등 기초 한국학 자료를 정보화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분석 능력 및 구조화 능력을 함양한다.
  • 백과사전, 분야별 전문사전의 기획, 편찬, 제작 훈련을 통해 학술 지식의 사회적 유통에 필요한 기술 지식을 습득한다.
  • 지역의 전통문화와 사회·경제적 생활상에 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조사·수집·정리하고 이를 문화콘텐츠의 제작에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하이퍼미디어, 가상현실, 지리정보시스템 등 첨단 정보기술의 운용 능력을 배양하고 이를 한국학 지식의 보급·확산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구 분
교 과 목 명
국 문
영 문
 학제간과목
(3)
정보화를위한한국학자료특강Ⅰ:역사자료
Computerization of Korean History Materials
정보화를위한한국학자료특강Ⅱ:어문자료
Computer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Materials
정보화를위한한국학자료특강Ⅲ:예술자료
Computerization of Korean Art Materials
 
원전 자료 해독 능력 배양 교과목
(1)
역사지리자료특강
Topics on Historical Geography Materials
전공 이론 심화와 연구 역량 제고를 위한 교과목
(18)
인문정보학개론
Introduction to Cultural Informatics
전자문서와하이퍼텍스트
Electronic Document and Hypertext
인문정보데이터베이스
Cultural Database Development
지역문화콘텐츠연구
Local Culture Content
고문헌자료정보화연구
Computeriz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고지도자료정보화연구
Computerization of Historical Maps
학술문헌자료정보화연구
Computerization of Academic Documents and Information
전자문화지도
Electronic Cultural Atlas
사전편찬연구
Compilation of Encyclopedia
한문정보처리
Classical Chinese Processing
지역문화조사방법론
Methodologies for Local Culture Studies
지역지리학응용연구
Applied Studies in Regional Geography
지리연구와콘텐츠Ⅰ:자연지리
Geography and ContentⅠ:Physical Geography
지리연구와콘텐츠Ⅱ:도시지리
Geography and ContentⅡ:Urban Geography
지리연구와콘텐츠Ⅲ:촌락
Geography and ContentⅢ:Rural Geography
계량지리학
Quantitative Geography
경제지리자료특강
Topics on Economic Geography
개별주제연구
Independent Study
전통의 현대화와 미래지향을 위한 교과목
(6)
멀티미디어콘텐츠
Multimedia Content Development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시맨틱웹과한국학자료
Semantic Web and Korean Studies Materials
유비쿼터스와증강현실
Ubiquitous Technology and Augmented Reality
외국어디지털콘텐츠편찬방법론
Translation of Cultural Contents
연구개발프로젝트수행방법론
R&D Project Management
현장학습과목
(1)
문화역사지리현장조사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Fieldwork
연구참여과목
(2)
인문정보편찬연구Ⅰ
Cultural Information Compilation StudiesⅠ
인문정보편찬연구Ⅱ
Cultural Information Compilation StudiesⅡ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
(2)
한국지리입문
Introduction to Korean Geography
한국문화와문화콘텐츠
Korean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http://www.aks.ac.kr/univ/


참고논문 : 김현, 「한국학과 정보기술의 학제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연구』 제43권, 2005년,  pp.243-290




바로 : 한국학중앙연구원은(구 정신문화연구원) 2005년 인문정보학연구실을 설립하여 한국학을 주제 영역으로 하는 디지털인문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09년에는 동연구원 내 한국학대학원에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을 개설하였다.(석사 및 박사 과정). 인문정보학 전공자는 전공필수 과목으로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XML), 인문정보데이터베이스를 이수하여야 하며, 온톨로지를 활용한 사전편찬연구와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전자문화지도 편찬 강좌 등을 개설하여 인문지식 데이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의 전 과정에 대한 통합적인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대학원 학생들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고문서자료관 등 방대한 규모의 디지털 백과사전 편찬 및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사업을  R&D 현장으로 활용함으로써 (연구참여학점 제도 운영) 인문융합 실무 능력을 배양을 도모하고 있다. 다만 디지털인문학 영역에서 교수인력이 김현뿐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200602_디지털인문학의이해.pdf


200602_디지털컨텐츠기획론.pdf







200701_디지털인문학의이해.pdf


200701_디지털컨텐츠설계및제작기초.pdf







200702_디지털컨텐츠기획론.pdf


200702_멀티미디어컨텐츠개발.pdf







200801_디지털인문학의이해.pdf


200801_디지털컨텐츠와정보시각화.pdf






200802_디지털컨텐츠공학.pdf


200802_디지털컨텐츠기획론.pdf






200901_디지털인문학을위한전자텍스트의이해와활용.pdf


200901_디지털컨텐츠기획론.pdf



200902_디지털인문학을위한전자텍스트의이해와활용.pdf


200902_디지털컨텐츠기획론.pdf




출처 : 연세대학교, http://www.yonsei.ac.kr/



바로: 2006년 연세대학교 인문학 특성화 사업단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계전공을 개설하였다. 디지털 인문학 연계전공은 2006년 2학기부터 2009년 2학기까지 전공필수 과목으로 “디지털인문학의 이해”을 이수하여야 하며, “디지털 컨텐츠 기획론”, “디지털 컨텐츠 설계와 제작 기초”, “인문학과 디지털 이미지”을 전공 선택으로 하여 디지털인문학의 데이터 구축, 분석, 시각화의 전 과정에 대한 통합적인 교육을 시도하였다.


디지털 인문학 연계전공은 디지털인문학의 구축, 분석, 시각화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교육한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3년 동안만 한시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일부 교과목 설계가 인문학 전공자들이 접근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출처 : KAIST 문화기술대학원, http://ct.kaist.ac.kr



바로 : 2005년 카이스트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문화기술대학원을 설립하고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과 정보기술의 융합을 모색하였다. 문화기술대학원은 전공필수과목으로 “문화기술론”을 이수하여야 하며, Digital Art & Entertainment, Ambient Communication, Interactive Media & Space의 전공심화과정을 마련하여 타 대학과의 차별성을 부여하고 있다 

문화기술대학원은 한국에서 최초로 공과대학교인 카이스트에 설립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과 기술의 융합을 추구하는 대학원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전통 인문학 방법론과 내용에 대한 교육 부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인문학 과목개발 연구결과 보고서.doc



출처 : 

http://www.hcrg.org/updata/%EB%94%94%EC%A7%80%ED%84%B8%EC%9D%B8%EB%AC%B8%ED%95%99%20%EA%B3%BC%EB%AA%A9%EA%B0%9C%EB%B0%9C%20%EC%97%B0%EA%B5%AC%EA%B2%B0%EA%B3%BC%20%EB%B3%B4%EA%B3%A0%EC%84%9C.doc






디지털인문학 과목개발.ppt



출처 : hcrg.org/uk/intro/디지털인문학%20과목개발.ppt 



기타출처 : 박찬길, 『디지털인문학 과목개발 연구』, 한국연구재단(NRF) 연구성과물, 2005년



바로2005년 이화여자대학교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인문학 과목을 개설하였다. 디지털인문학 과목은Ⅰ,Ⅱ,Ⅲ으로 나뉘어 총 8과목이다. Ⅰ,Ⅱ는 대체로 인문계 학생들에게 적합하게 구성한 정보화 기술교육에 중점을 두는 과정이고, Ⅲ은 “웹을 이용한 문화의 이해”라는 과정으로 Ⅰ,Ⅱ에서 배운 디지털기술을 문화연구에 적용해보는 수업이다.


이화여자대학교의 디지털인문학 과목은 한국에서는 최초로 학부 과정 교육에서 인문학과 정보기술을 결합하려고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교육내용이 워드프로세서나 이미지 처리 툴과 같은 기본적인 컴퓨터 조작과 HTML 정도의 홈페이지 구축 수준에 머물고 있어 정보기술을 이용한 인문학 연구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이화여자대학교는 2016학년도 융합콘텐츠학과를 신설해 신입생을 선발한다고 4일 밝혔다. 


32명 정원 규모로 내년 3월 첫 신입생을 맞는 융합콘텐츠학과는 2002년부터 대학원에서 운영 중인 디지털미디어학부의 커리큘럼을 학부에 반영해 만들어졌다.


전임교원은 소설 '영원한 제국' 작가 류철균 교수, 과학기술부 차관 출신으로 미디어-기술-사회간의 연관성에 착안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 중인 박영일 대외부총장 겸 교수 등 8명이다.


졸업생들은 게임, 드라마 등의 문화콘텐츠 기획과 IT산업의 서비스 기획 분야로 진출하게 된다. 


이화여대는 이 학과를 포함해 의류산업학과·국제사무학과·체육과학부·식품영양학과·융합보건학과 등 미래 신산업과 융합 지식 중심의 6개 학부·학과로 구성된 '신산업융합대학'을 설립하고 신입생 248명을 선발한다. 


이화여대 관계자는 "융합콘텐츠학과를 아우르는 신산업융합대학 신설을 통해 신산업 분야의 사회 수요에 부응하고 미래 여성친화적 유망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창의·융합·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odong85@newsis.com 


출처 : 뉴시스 - 이화여대 2015년도 융합콘텐츠학과 신설



바로 : 구체적인 커리큘럼이 어떻게 설계될지 기대됩니다. ^^




<책의 실험, Chapter0> 참가 신청


안녕하세요, 협동조합 롤링다이스입니다. 

2015년 8월 19일~ 9월 23일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30분, 서울혁신파크에서 총 6회에 걸쳐 <책의 실험, Chapter 0> 행사가 열립니다. 신청서를 작성하신 후 아래 계좌로 참가비를 입금하시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참가비 : 회당 5000원, 6회 전체 참가시 25000원

- 입금계좌 : 국민은행 458302-01-246101 예금주: 이한나(롤링다이스)

- 오시는길: (지도) http://goo.gl/pBv15Q


- 문의: rollingdice00@gmail.com 


참가신청 : http://goo.gl/forms/OGzrHwILeK





제목 : MSSQL 입문 - 인문지식의 집적과 분석을 위한 기술


대상 :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


강사 : 김바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시 및 장소 : 

- 7월 23, 24일 목/금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한국학중앙연구원 시습재 지하 1층 회의실 한국학대학원106호 강의실)

- 7월 31일 금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한국학중앙연구원 시습재 지하 1층 회의실 한국학대학원103호 강의실)


관련문의 : 강혜원 (한국학중앙연구원)  hyekangs@naver.com



바로 : 기본적으로는 2학기 김현 교수님의 SQL 수업을 대비한 사전공부이기에, 자유참가에 참가비용도 없습니다.(굳이 참가비를 내고 싶으시면, 저한테 밥을 사주시면?!;;;) IT에 대해서 완전히 무지한 인문학도를 기본 교육 대상으로 규정하고, 기본적인 데이터의 정의부터 시작해서, 기본적인 MSSQL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다만 단기합숙의 개념으로 3일간 오전부터 저녁까지 달릴 예정입니다.^^::: 






네이버(대표 김상헌)와 HK인문학연구소협의회(회장 김성민),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은 17일 인문학 콘텐츠 정보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HK인문학연구소협의회는 인문학의 대중 확산을 위해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등 전국 각 대학의 인문학 연구소들이 함께하는 협의회로, 국내 인문학 분야 최우수 연구소 43곳에서 활동하는 1,400여 명의 석 박사 연구원 및 교수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HK인문학연구소 소속 학자들이 집필한 여러 분야의 풍부한 디지털 인문학 콘텐츠가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캐스트를 통해 제공되어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인문학적 지식을 보다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됐다.


실제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가 연재 중인 <세계의 시장을 가다> 시리즈와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가 지역별 민족을 소개하는 <민족의 모자이크 유라시아> 시리즈는 이용자들 사이에서 대중성과 전문지식이 잘 조화된 콘텐츠로 호평을 받고 있다. 최근 연재를 시작한 연세대 인문학연구원의 <세계의 문자 사전> 시리즈도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주제를 보다 재미있게 풀어냈다.


이후에도 ▲중국 현대사를 읽는 키워드 100 ▲고대문명을 찾아서 - 잉카, 아스텍, 마야 ▲귀신과 괴담의 문화사 등이 네이버 지식백과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며, 그간 오프라인에서만 볼 수 있었던 <웹에서 맛보는 규장각 전시 여행> 전시회도 네이버를 통해 감상할 수 있게 된다.


HK인문학연구소협의회 김성민 회장은 “네이버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인문학적 지식을 나누고자 이번 협약을 진행하게 됐다”며 “향후 댓글 등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네이버 안에서 쌍방향 지식생산을 통해 이용자들이 살아있는 인문학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 김종환 사전셀장은 “네이버를 통해서 인문학의 신뢰도 높은 콘텐츠가 더 많은 이용자들에게 쉽고 편하게 전달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검색, 지식백과 서비스 등을 통해 이용자 니즈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많은 이용자들이 궁금해 하는 지식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출처 : 아이티비즈 - 네이버-HK인문학연구소協-한국연구재단, 인문학 콘텐츠 확산 협력



바로 : 사실 현재 단계를 "디지털 인문학 콘텐츠"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인문학자는 아직 디지털이 아닌 아날로그의 방법론으로 자료를 만들고, 네이버가 이를 디지털로 이전했을 뿐이다. 누구보다 인문학을 잘 아는 인문학자 스스로가 "인문학 데이터"을 구축하였으면 한다. 그런 의미에서 네이버나 다음에서 "디지털 인문학"의 데이터 구축과 활용을 위한 서버 자체에 대한 업무협약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행사 개요

일시 : 2015624~ 25(/2일간)

장소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 국제문화대학 컨퍼런스룸(520)

주최 : 한양대학교 BK21Plus 글로벌문화콘텐츠시장선도창의인재양성사업단,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주관 : 문화콘텐츠전략연구소

전화 : 031-400-5819

홈페이지 : http://contents.hanyang.ac.kr 

 

내용

주제 : 글로벌 웹툰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방안

 

일정 :

6/24

시간

일정

13:15 ~13:30

개 회 식 (축사 및 인사말)

     <Session > 프랑스, 중국, 일본의 웹툰 현황과 전망

사회 : 김치호 (한양대)

시간

발표자

제목

13:30-14:20

Edouard Meier (COMICSTARTER)

프랑스 웹툰의 현황과 전망

14:20-15:10

Zeng Longwen (북경 쾌락공장 대표)

중국 웹툰시장의 현황과 전망

15:10-15:30

휴 식

15:30-16:20

Atsushi Matsumoto (도쿄대)

일본 웹툰시장의 성장가능성 탑구

16:20-17:10

Taizo Nishio (아이티 미디어)

일본 만화시장과 웹툰시장의 생산적 긴장

17:10-18:00

김호영(한양대), 안창현(한신대),

김봉석(에이코믹스)

종합 토론

 

6/25

     <Session > 웹툰 비즈니스 모델과 생태계 활성화

사회 : 고운기 (한양대)

시간

발표자

제목

10:00-10:30

한혜경 (한양대)

일본 만화시장과 웹툰시장의 생산적 긴장

10:40-11:10

김영재 (한양대)

한국 웹툰 시장의 비즈니스 선순환모델

11:20-11:50

박석환 (한국영상대)

한국 웹툰 생태계의 활성화 방안

11:50 ~13:30

점심시간

     <Session > 웹툰의 특성과 발전 전략

사회 : 최민성 (한신대)

시간

발표자

제목

13:30-14:00

정영찬 (한양대)

웹툰의 거점콘테츠화 방안

14:00-14:30

한상정 (상지대)

한국 웹툰의 연출 문법 탐구

14:30-14:50

휴 식

14:50-15:20

박기수 (한양대)

한국 웹툰 스토리텔링 전략

15:20-15:50

박인하 (청강대)

한국 웹툰의 변별적 특성 연구

15:50-16:20

한창완 (세종대)

한국 웹툰의 정체와 산업적 특성

16:40-18:00

박정서(다음카카오), 이승진(경기대), 서찬휘(칼럼니스트), 김춘곤(TOPTOON), 김충영(만화영상진흥원)

종합 토론



글로벌 웹툰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제학술대회_안내문.hwp








2015년도 인문학대중화 기획사업(인문학국책/인문학디지털/인문브릿지) 신청요강을 공고하오니 신청기간 내에 과제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자 신청 : 2015 7. 13.(월), 14:00 ~ 7. 20.(월), 18:00까지  


- 기 관 확 인 : 2015. 7. 13.(월), 14:00 ~ 7. 22.(수), 18:00까지  


자세한 온라인 신청 매뉴얼은 과제 신청 1주일 전에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1. 2015년도 인문학국책사업 신청요강  

            2. 2015년도 인문학디지털사업 신청요강  

            3. 2015년도 인문브릿지사업 신청요강  

            4. 2015년도 인문학국책사업 연구계획서 

            5. 2015년도 인문학디지털사업 연구계획서 

            6. 2015년도 인문브릿지사업 연구계획서 

            7.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동의서 양식 


<문의>   


◦ 사업 및 신청요강 관련 문의    

   - 인문사회연구진흥팀 : 042-869-6208, 6306  


◦ 전공평가 관련 문의  

     - 인문학단     :  02-3460-5536 

◦ 전산 관련 문의(온라인신청, 연구업적통합정보(KRI), 전산장애)    

  - 정보팀 Help Desk : 1544-6118  


◦ 기초학문자료센터(KRM) 관련 문의   

  - 인문사회연구총괄기획팀 : 042-869-6104  


◦ 인간대상연구 관련 문의  

  - 각 소속기관(대학 등)별 IRB 문의  

  -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보건복지부 산하) : 02-737-8970~1 



출처 : http://www.nrf.re.kr/nrf_tot_cms/board/biz_notice_tot/view.jsp?show_no=171&check_no=169&c_relation=biz&c_relation2=0&c_no=0&c_now_tab=0&page=1&NTS_NO=65520




첨부1. 2015년_인문학국책사업 신청요강.hwp


첨부2. 2015년_디지털인문학사업 신청요강.hwp


첨부3. 2015년_인문브릿지사업 신청요강.hwp


첨부4. 2015년_인문학국책사업 연구계획서.hwp


첨부5. 2015년_디지털인문학사업 연구계획서.hwp


첨부6. 2015년_인문브릿지사업 연구계획서.hwp


첨부7. 개인정보 제공 및 활동동의서 양식.hwp






한국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 창립 발기문




  한국에서 인문학 지식의 탐구 또는 그것의 사회적·문화산업적 응용 연구에 종사하는 우리는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이 인문 지식의 생산, 전파, 활용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직시한다. 우리는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 순수인문학과 응용인문학의 모든 영역에서 일어나는 보편적 전회(轉回)이며,  또 하나의 분과 학문이 아니라 과거 수많은 갈래로 나위었던 세부 영역들이 소통하는 지식으로 융합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구도임을 인지한다. 이에 우리는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인문학의 혁신을 추구하는 범지구적 노력에 동참하는 데 뜻을 모으고 유효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 한국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는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와 교육을 통하여 국내적으로는 인문융성의 기반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 국제적으로는 우리의 고유한 학술적 경험과 성과를 토대로 세계 디지털 인문학계에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2. 한국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는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와 교육, 디지털적인 방법에 의한 다학문 연계 및 학술과 문화산업의 소통 등에 관심이 있는 모든 기관과 단체, 개인이 참여할 수 있다. 


3. 한국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는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와 교육, 활용에 관한 경험과 성과를 서로에게 알리고 피드백을 얻게 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의 발전에 기여한다. 


4. 한국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는 범인문학계의 연구자 및 예비연구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 방법과 이에 필요한 기술적 역량을 전파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5. 한국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는 디지털 인문학의 선도적인 경험을 토대로 정부 부처 및 학술진흥기관의 디지털 인문학 육성 정책에 대해 자문하고 건전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디지털 인문학 진흥에 기여한다. 


6. 한국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단체의 국제적인 네트워크에 참여함으로써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이 세계 디지털 인문학과 소통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담당한다. 

 

  디지털 인문학은 과거의 학술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더욱 건강하고 영향력 있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디지털 인문학적 방법의 수용과 계발을 통해 대학에서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의 활기를 되살리고, 인문학 지식의 가치를 전파하는 문화콘텐츠의 생산을 촉진하며, 그 성과가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공동의 노력으로 위와 같은 임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모임, ‘한국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Korean Association for Digital Humanities)’의 창립을 발기한다. 





2015년 5월 30일



한국 디지털 인문학 협의회 발기인 일동







2015년 5월 30일(토) 건국대학교에서 인문콘텐츠학회와 건국대학교 BK21플러스 사업단의 공동주최로 거행된 2015년도 인문콘텐츠학회 디지털인문학(Digital Humanities) 포럼의 자료집입니다.




출처 : 인문콘텐츠학회 






한국학지식정보센터에서는 한국학대학원생들에게 우리의 고유한 문화유산을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콘텐츠인『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및『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소개하고, 이를 한국학 연구 및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국학콘텐츠 시연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원내 교직원 및 한국학대학원생들의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1. 행사명: 한국학콘텐츠 시연회

2. 주 제: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 알아가는 부산 근대사

3. 일 시: 2015. 6. 3(수), 14:00 ~ 15:15

4. 장 소: 한국학대학원 강당(101강의실)

+ Recent posts